그림=SNS에 전파되고 있는 일본 제품 불매운동 포스터
우리나라 주력 수출품인 반도체의 주요 소재에 대한 일본의 수출 규제로 양국 긴장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 국민들의 일본에 대한 호감도가 1991년 이래 최저치를 기록했다.
◆ 일본에 ‘호감이 간다’ 12% < ‘호감이 가지 않는다’ 77%
한국갤럽이 지난 9일~11일 전국 성인 1005명을 상대로 일본에 대한 호감 여부를 물은 결과 ‘호감이 간다’는 답변은 12%에 불과했다.
‘호감이 가지 않는다’가 77%, 의견을 유보한 사람은 10%였다.
‘일본 사람’에 ‘호감이 간다’고 답한 사람도 ‘일본’에는 ‘호감이 가지 않는다’는 응답이 66%였다. ‘일본 사람’에게 ‘호감가지 않는다’는 사람은 92%가 ‘일본’도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일본에 대한 호감도는 역사적 사건들을 계기로 부침을 거듭해왔다. 한일 월드컵 공동 개최 이듬해인 2003년 35%였던 호감도는 일본 시마네현이 ‘다케시마(일본이 독도를 부르는 이름)의 날’ 조례를 통과시킨 2005년 20%로 떨어졌다가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발생 직후 41%로 최고치를 기록한 바 있다. 우리나라 사람의 일본 호감도가 40%를 넘은 것은 당시가 유일한데 대형 재난에 대응하는 일본인들의 성숙한 태도가 일본의 국가 이미지에도 긍정적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다시 2015년 광복 70주년 3.1절을 몇일 앞둔 시점에서 일본에 대한 호감도가 17%로 처음으로 20%를 밑돌았다. 박근혜 정부 출범 후 한미 한중 한러 정상회담이 모두 이뤄졌지만 과거사 문제로 한일 정상회담은 성사되지 못하던 시점이다. 일본 아베 총리는 당시 정상회담 의향을 몇 차례 비쳤으나 박 대통령은 ‘일본 정부의 과거사 인식 개선 없이 한일 정상회담을 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한국인의 일본에 대한 호감도(그림=한국갤럽)
◆ 한일 분쟁 책임 누구에게 더?... ‘일본 정부’ 61% > ‘한국 정부’ 17%
한일 간 분쟁의 책임이 한국 정부와 일본 정부 중 누구에게 더 있다고 보는지 질문에 61%가 ‘일본 정부에 더 책임이 있다’고 답했다. ‘한국 정부 책임이 더 크다’는 답변은 17%, ‘양측 모두’라는 답은 13%였다.
‘일본 정부 책임이 더 크다’는 의견은 20대(74%)와 30대(79%), 진보층(81%)에 두드러졌다. ‘한국 정부의 책임’을 더 물은 쪽은 50대(26%)와 60대 이상(24%), 보수층(31%)에 상대적으로 많았다.
‘한국 정부의 책임이 더 크다’는 의견을 지지 정당별로 보면, 더불어민주당과 정의당 지지층은 6%와 8%에 불과했지만, 바른미래당 지지층은 20%, 자유한국당 지지층은 40%가 우리 정부 책임을 더 물어야 한다고 답했다.
◆ 일본 제품 불매 운동 동참 의향은?... ‘있다’ 67% > ‘없다’ 27%
일본산 제품 불매 운동에 동참할 의향이 있는지 질문에는 67%가 ‘있다’, 27%가 ‘없다’고 답했으며 6%는 의견을 유보했다.
일본 제품 불매 운동 참여 의향은 대부분 응답자 특성에서 우세했다. 특히 문 대통령 직무 부정 평가자도 59%가 ‘불매 운동에 참여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고, 한일간 분쟁 책임이 한국 정부에 있다고 본 사람의 38%도 불매 운동에는 동의의 뜻을 비쳤다.
이는 현 정부에 대한 신뢰 여부나 좋고 싫음보다 일본에 대한 뿌리깊은 감정이 더 크게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
이상의 결과는 한국갤럽이 자체 조사로 지난 9~11일 전국 만 19세 이상 남녀 6849명을 상대로 휴대전화 RDD 표본 프레임에서 무작위 추출(집전화 RDD 15% 포함)한 전화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조사됐고, 1005명이 응답해 15%의 응답률을 보였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였다.
그림=SNS에 전파되고 있는 일본 제품 불매운동 포스터
우리나라 주력 수출품인 반도체의 주요 소재에 대한 일본의 수출 규제로 양국 긴장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 국민들의 일본에 대한 호감도가 1991년 이래 최저치를 기록했다.
◆ 일본에 ‘호감이 간다’ 12% < ‘호감이 가지 않는다’ 77%
한국갤럽이 지난 9일~11일 전국 성인 1005명을 상대로 일본에 대한 호감 여부를 물은 결과 ‘호감이 간다’는 답변은 12%에 불과했다.
‘호감이 가지 않는다’가 77%, 의견을 유보한 사람은 10%였다.
‘일본 사람’에 ‘호감이 간다’고 답한 사람도 ‘일본’에는 ‘호감이 가지 않는다’는 응답이 66%였다. ‘일본 사람’에게 ‘호감가지 않는다’는 사람은 92%가 ‘일본’도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일본에 대한 호감도는 역사적 사건들을 계기로 부침을 거듭해왔다. 한일 월드컵 공동 개최 이듬해인 2003년 35%였던 호감도는 일본 시마네현이 ‘다케시마(일본이 독도를 부르는 이름)의 날’ 조례를 통과시킨 2005년 20%로 떨어졌다가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발생 직후 41%로 최고치를 기록한 바 있다. 우리나라 사람의 일본 호감도가 40%를 넘은 것은 당시가 유일한데 대형 재난에 대응하는 일본인들의 성숙한 태도가 일본의 국가 이미지에도 긍정적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다시 2015년 광복 70주년 3.1절을 몇일 앞둔 시점에서 일본에 대한 호감도가 17%로 처음으로 20%를 밑돌았다. 박근혜 정부 출범 후 한미 한중 한러 정상회담이 모두 이뤄졌지만 과거사 문제로 한일 정상회담은 성사되지 못하던 시점이다. 일본 아베 총리는 당시 정상회담 의향을 몇 차례 비쳤으나 박 대통령은 ‘일본 정부의 과거사 인식 개선 없이 한일 정상회담을 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한국인의 일본에 대한 호감도(그림=한국갤럽)
◆ 한일 분쟁 책임 누구에게 더?... ‘일본 정부’ 61% > ‘한국 정부’ 17%
한일 간 분쟁의 책임이 한국 정부와 일본 정부 중 누구에게 더 있다고 보는지 질문에 61%가 ‘일본 정부에 더 책임이 있다’고 답했다. ‘한국 정부 책임이 더 크다’는 답변은 17%, ‘양측 모두’라는 답은 13%였다.
‘일본 정부 책임이 더 크다’는 의견은 20대(74%)와 30대(79%), 진보층(81%)에 두드러졌다. ‘한국 정부의 책임’을 더 물은 쪽은 50대(26%)와 60대 이상(24%), 보수층(31%)에 상대적으로 많았다.
‘한국 정부의 책임이 더 크다’는 의견을 지지 정당별로 보면, 더불어민주당과 정의당 지지층은 6%와 8%에 불과했지만, 바른미래당 지지층은 20%, 자유한국당 지지층은 40%가 우리 정부 책임을 더 물어야 한다고 답했다.
◆ 일본 제품 불매 운동 동참 의향은?... ‘있다’ 67% > ‘없다’ 27%
일본산 제품 불매 운동에 동참할 의향이 있는지 질문에는 67%가 ‘있다’, 27%가 ‘없다’고 답했으며 6%는 의견을 유보했다.
일본 제품 불매 운동 참여 의향은 대부분 응답자 특성에서 우세했다. 특히 문 대통령 직무 부정 평가자도 59%가 ‘불매 운동에 참여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고, 한일간 분쟁 책임이 한국 정부에 있다고 본 사람의 38%도 불매 운동에는 동의의 뜻을 비쳤다.
이는 현 정부에 대한 신뢰 여부나 좋고 싫음보다 일본에 대한 뿌리깊은 감정이 더 크게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
이상의 결과는 한국갤럽이 자체 조사로 지난 9~11일 전국 만 19세 이상 남녀 6849명을 상대로 휴대전화 RDD 표본 프레임에서 무작위 추출(집전화 RDD 15% 포함)한 전화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조사됐고, 1005명이 응답해 15%의 응답률을 보였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