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크레인이 태안군 소원면 송현리의 송현저수지에서 준설작업을 하고 있다. 사진=채원상 기자
충남 태안군 소원면 80가구의 든든한 젖줄인 ‘송현저수지’. 당초 이 저수지에는 22만톤의 물이 찰랑찰랑 흘러 넘쳤다.
태안군 소원면 송현저수지 앞에 경고장이 붙어있지만, 이미 저수지 물은 없는 상태이다. 사진=채원상 기자
하지만 두세 달 전 극심한 가뭄으로 말라붙어 버리는 바람에, 물 대신 사람들이 들어와 준설작업을 하고 있다. 저수지 앞 ‘수심이 깊고 위험하다’는 팻말이 무색하다.
포크레인이 동원돼 태안군 소원면 송현리의 송현저수지 준설작업이 진행 중이다. 사진=채원상 기자
저수지 물이 고갈된 것은 1982년 준공이후 처음. 약 33년 만에 자신의 민낯을 드러낸 송현저수지는 준설작업을 통해 저수량을 높인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지만, 극심한 가뭄에 태안군 담당 공무원 역시 혀를 내두르고 있었다.
쌀 농사를 짓는 이상범 씨가 가뭄으로 말라붙은 쌀알(위쪽)과 정상적인 쌀알을 비교하고 있다. 사진=채원상 기자
서산 A지구 간척지 역시 가뭄의 상처를 받았다. 이곳에서 만난 농부 이상범(60) 씨는 허탈감을 감추지 않았다.
벼 잎은 누런색을 띄고 있었다. 물 공급을 제대로 받지 못해 잎이 말라버린 것이다.
이 현상은 지난달 초부터 시작됐다. 14년 전 이곳에서 농사를 짓기 시작한 이후 처음 보는 현상이다.
가뭄으로 말라붙은 벼잎과 정상적인 벼잎의 비교 모습. 사진=채원상 기자
이 씨는 “올해 농사를 지을 때 풍년을 기대했는데..., 작년만큼 수확량이 안 될 거 같다”며 씁쓸해했다.
수확량도 수확량이지만 가격도 이 씨의 마음을 아프게 하고 있다. 대충 봐도 비어있거나 삐쩍 마른 쌀알들이 많았다.
이 쌀들이 미곡종합처리장에 가면 다 날라가버려 제 가격을 받지 못한다는 것이다.
“천수만에서 물을 끌어다 쓰는데, 아무래도 물에 염분기가 있어요. 비가 오면 이 염분기가 없어지겠지만 하늘이 안 도와주고 있어요“
보령시 천북면 보은리 이상범 씨 집 근처에 웅덩이. 당초 이곳은 깨끗한 물이 흘러넘쳤지만, 가뭄으로 물이 고갈된 상태이다. 사진=채원상 기자
보령시 천북면 그의 집 근처에는 10평짜리 웅덩이가 있다. 이곳의 물을 끌어다 농사를 짓는 이 씨는 물 자체가 워낙 깨끗해 잉어와 민물꽃게 등을 잡아 키우고 있었다.
하지만 지난달 초 이 웅덩이는 말라버렸다. 보령시 천북면에 가뭄이 아무리 극심해도 이 웅덩이는 마르지 않았다.
60평생 처음 본 풍경이다. 부모님 세대에서도 없었던 일이다. 그가 잡아온 잉어와 민물꽃게 역시 앙상한 뼈를 드러낸 채 죽어 있었다.
“지금 수확기에 비가 많이 오면 농사가 망쳐버려요. 20일전에만 비가 많이 와도 이런 일은 없었을 텐데…”
서산 천수만의 전경. 가뭄으로 말라붙은 일명 쭉정이 벼는 이미 다 베어진 상태이며(사진 위쪽), 그나마 상태가 괜찮은 곳은 아직도 벼 농사를 짓고 있다. 사진=채원상 기자
[굿모닝충청 채원상, 이정민 기자]
이미지를 누르시면 이화병원 30주년 기념행사와 이벤트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포크레인이 태안군 소원면 송현리의 송현저수지에서 준설작업을 하고 있다. 사진=채원상 기자
충남 태안군 소원면 80가구의 든든한 젖줄인 ‘송현저수지’. 당초 이 저수지에는 22만톤의 물이 찰랑찰랑 흘러 넘쳤다.
태안군 소원면 송현저수지 앞에 경고장이 붙어있지만, 이미 저수지 물은 없는 상태이다. 사진=채원상 기자
하지만 두세 달 전 극심한 가뭄으로 말라붙어 버리는 바람에, 물 대신 사람들이 들어와 준설작업을 하고 있다. 저수지 앞 ‘수심이 깊고 위험하다’는 팻말이 무색하다.
포크레인이 동원돼 태안군 소원면 송현리의 송현저수지 준설작업이 진행 중이다. 사진=채원상 기자
저수지 물이 고갈된 것은 1982년 준공이후 처음. 약 33년 만에 자신의 민낯을 드러낸 송현저수지는 준설작업을 통해 저수량을 높인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지만, 극심한 가뭄에 태안군 담당 공무원 역시 혀를 내두르고 있었다.
쌀 농사를 짓는 이상범 씨가 가뭄으로 말라붙은 쌀알(위쪽)과 정상적인 쌀알을 비교하고 있다. 사진=채원상 기자
서산 A지구 간척지 역시 가뭄의 상처를 받았다. 이곳에서 만난 농부 이상범(60) 씨는 허탈감을 감추지 않았다.
벼 잎은 누런색을 띄고 있었다. 물 공급을 제대로 받지 못해 잎이 말라버린 것이다.
이 현상은 지난달 초부터 시작됐다. 14년 전 이곳에서 농사를 짓기 시작한 이후 처음 보는 현상이다.
가뭄으로 말라붙은 벼잎과 정상적인 벼잎의 비교 모습. 사진=채원상 기자
이 씨는 “올해 농사를 지을 때 풍년을 기대했는데..., 작년만큼 수확량이 안 될 거 같다”며 씁쓸해했다.
수확량도 수확량이지만 가격도 이 씨의 마음을 아프게 하고 있다. 대충 봐도 비어있거나 삐쩍 마른 쌀알들이 많았다.
이 쌀들이 미곡종합처리장에 가면 다 날라가버려 제 가격을 받지 못한다는 것이다.
“천수만에서 물을 끌어다 쓰는데, 아무래도 물에 염분기가 있어요. 비가 오면 이 염분기가 없어지겠지만 하늘이 안 도와주고 있어요“
보령시 천북면 보은리 이상범 씨 집 근처에 웅덩이. 당초 이곳은 깨끗한 물이 흘러넘쳤지만, 가뭄으로 물이 고갈된 상태이다. 사진=채원상 기자
보령시 천북면 그의 집 근처에는 10평짜리 웅덩이가 있다. 이곳의 물을 끌어다 농사를 짓는 이 씨는 물 자체가 워낙 깨끗해 잉어와 민물꽃게 등을 잡아 키우고 있었다.
하지만 지난달 초 이 웅덩이는 말라버렸다. 보령시 천북면에 가뭄이 아무리 극심해도 이 웅덩이는 마르지 않았다.
60평생 처음 본 풍경이다. 부모님 세대에서도 없었던 일이다. 그가 잡아온 잉어와 민물꽃게 역시 앙상한 뼈를 드러낸 채 죽어 있었다.
“지금 수확기에 비가 많이 오면 농사가 망쳐버려요. 20일전에만 비가 많이 와도 이런 일은 없었을 텐데…”
서산 천수만의 전경. 가뭄으로 말라붙은 일명 쭉정이 벼는 이미 다 베어진 상태이며(사진 위쪽), 그나마 상태가 괜찮은 곳은 아직도 벼 농사를 짓고 있다. 사진=채원상 기자
[굿모닝충청 채원상, 이정민 기자]
이미지를 누르시면 이화병원 30주년 기념행사와 이벤트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